책 소개



출판사 리뷰

자연주의 여행 끝에 닿은 순수 야생차의 세계

‘차의 귀향’, 차가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저자는 그것을 한마디로 순수 100퍼센트 야생차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 자신도 서울을 탈출(?)해 남녘, 전남 곡성의 산속으로 들어간다. 하지만 자연으로 돌아가는 일이 말처럼 쉬운 것도 아니고, 그 속에서의 삶이 ‘웰빙’스러운 것도 아니다. 야생차 씨앗이 뿌려져 자라고 어엿한 나무가 되어 야생차를 내놓을 만큼의 신산한 날이 차나무에게도, 야생다원을 일구는 저자에게도 닥쳐온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야생차밭을 일구는 이야기와 야생차를 마시는, 즉 다도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그 방법을 일러주는 내용만으로 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야생차밭을 일구는 과정에서 겪어야 하는 수많은 사람과 사람의 이야기, 그들 속에서 겪는 서울의 매연만큼 힘든 과정이 녹아 있다. 차 한 잔의 여유는 결코 쉽게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를 이 책을 통해 독자는 알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다도는 차 만들기의 전 과정을 담은 차 한 잔의 의미를 마시는 행위다. 이 책은 그 점을 한 사람의 고집을 통해 미려하게 알려주고 있다.

야생차를 찾아 남녘 산으로 간 까닭은…

산에서 데려와 길들였던 것을 다시 산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것, ‘인공 재배’를 ‘순수 야생’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시도는 시계를 거꾸로 돌리는 일이어서 문명에 대한 반항이자 기득권의 포기이기에 걱정스런 시선들이 쏟아졌다. 다만 웰빙에서 힐링으로 바뀌는 추세가 한줄기 빛이 되어 내리쬐었다. 바야흐로 육질적 행복 추구에 동반된 마음의 병을 치유할 곳을 찾고자 하는 것이었다. 웰빙에 이르기까지 병이 축적된 원인은 지나친 인위 탓이고 그 병의 원인 치료제는 단연 무위의 자연이어야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산속의 명상처를 찾고 인문학 강의를 듣는 것이다. 저자는 일찍이 오랫동안 <한겨레신문>에서 ‘자연주의 여행’을 취재하면서 무위자연의 진수를 사람의 몸과 마음에 전이시켜주는 최고의 자연물이 차[茶]임을 깊이 인식해오던 터였다. 차에 도道가 붙는 것[다도茶道]이 이를 입증한다.


산도 절로, 물도 절로 우리도 절로절로

야생차의 건강한 모습에는 ‘웰빙’과 ‘힐링’이 다 들어 있다. 자연 공동체의 잡목 잡초 더미 속에서 ‘무위자연’이라는 ‘자연의 도’에 따라 나고 길러지는 야생차는 자연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의 결정체다. 산에 서식하는 야생차는 자연 공동체의 이웃으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는다. 오랜 기간 낙엽이 쌓여서 변한 거름기가 땅속 깊이 스며들어 직근성 차나무에게 꿀 같은 영양이 되어준다. 떡갈나무 옻나무 같은 활엽수의 넒은 잎은 그늘을 필요로 하는 차나무에게 햇볕을 적당히 가려준다. 가을에는 그것들이 낙엽 되어 땅의 습기를 보존해준다. 겨울에는 북풍한설을 막아주는 울타리 및 이불 구실을 하고, 봄에는 썩어서 자연 퇴비가 되어준다.

은하수 아래, 차의 향과 색과 맛도 흐른다

차 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좋은 차의 구별과 선택은 가장 중요한 선행 요건이다. 차는 향・색・맛이 3요소인데 이 중 한 가지라도 문제가 있으면 좋은 차라고 할 수 없고, 그런 차로써는 차가 주는 뛰어난 효능을 누리는 바람직한 차 생활을 할 수가 없다. 다도란 폼 나게 옷 입고 뻐기듯 차를 마시는 행위가 아니라, 한 톨의 차 씨앗을 심는 일에서부터 한 모금의 차가 목구멍을 넘어가게 되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온 정성을 다하는 것이란다. 왜 그럴까? 차가 지닌 자연의 이법을 ‘종다’에서 ‘끽다’까지의 과정에서 최대한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려내 우리 몸과 마음의 병을 원인 치유해주는 선약으로 전이시키기 위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