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민 산절로야생다원 대표가 ‘지금 한국 차는 질식상태, 불가다도 성찰과 선도적 역할이 절실하다’는 제하의 글을 보내왔다. 한겨레신문 기자와 여론매체부장 등을 역임한 최 대표는 성균관대대학원에서 ‘한국 수양다도의 모색’을 주제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은 수양다도 연구가로 현재 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회 대표도 맡고 있다. 저서로 ‘차의 귀향’ ‘차 만드는 사람들’ 등이 있다. 편집자
국산차 소비량 커피 15분의 1
2007년 ‘농약차’ 보도 후 냉담
차문화 꽃피운 불교계도 비슷
사찰마다 일회용 커피 자판기
보이차‧황차가 불교계도 대세
보이차 꽉 찬 스님 방도 있어
차에 깃든 수행의미는 퇴색
스님들, 다도 성찰 뒤따라야
불교는 이 땅에 차문화를 들여왔고, 조선후기 초의선사는 한국 차문화사상 불후의 명작이라고 할 수 있는 ‘동다송’을 지어 ‘한국 차의 성인’이라고 불리고 있다. 중국 당나라 시대 이래 차하면 불교이고 조주 선사의 ‘끽다거’나 원오극근 선사의 ‘다선일미’는 불가가 이룬 차문화의 극치를 상징하는 화두로 오늘까지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 한국 차는 쇠퇴일로를 걷다가 거의 질식 상태에 놓여있다. 한국 차의 사양화는 2007년 이래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현실이다. 얼마 전까지 홈페이지를 열고 매우 활기차게 홍보 및 판매를 하고 있던 유명 다원이나 명인들이 그 홈페이지 운영을 3~4년 전 상황에서 멈춰버린 사실에서 최근의 한국 차 현실의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지난해 커피 소비량이 6조원인데 비해 국산 차 소비량은 4000억원에 그쳤다는 통계자료도 나와 있다.
한국 차 쇠퇴의 시작은 2007년 한 방송 프로그램(KBS 소비자고발)의 무분별한 ‘농약 잔류량’ 보도 파문에서 비롯됐지만, 그 기억이 잊혀질 때도 됐는데 소비자들이 한국 차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은 왜일까? 국내 소비자들이 국산 차에 대한 실망감을 돌릴 기색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게 더욱 심각한 일이다.
차를 이 땅에 들여와 한때 차문화의 꽃을 피우게 했던 불가의 입장에서 보면 자탄의 한숨소리가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와도 부족할 판이다. 그러나 불교계 어디에서도 현재 한국 차와 차문화의 질식 상태에 대해 걱정하는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반면 여느 절 주지스님들의 방은 고가의 다구와 차탁에 중국 보이차 전시장 같은 곳들도 있다. 깊은 산속 웬만한 절집마다 커피 자판기를 들여놓은 지 오래된 일이고 서울 조계사 앞마당에서 인스턴트 커피잔을 들고 다니는 것을 어색하게 생각하는 신도들은 없을 것이다. 요즘 한창 열을 올리고 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에 한결같이 ‘다도 체험’이 들어있으나, 정작 초의 선사가 그랬듯이 직접 차밭을 가꾸고 제다를 하여 ‘독철왈신’(獨啜曰神)을 말하며 대중에게 차의 본질과 다도의 진의를 깨닫게 하는 절집이 몇이나 될까?
한국 차의 암울한 현실을 두고 일본 차의 경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 차 역시 당나라에서 불교와 함께 이입돼 오늘날 ‘일본 다도’와 ‘그린 티’라는 국제적 브랜드를 탄생시켰다. 이 과정에서 특히 일본 불가다도는 ‘세속화된 불가다도’라는 찬사가 얹혀진 ‘일본 다도’를 낳으며 일본 국민 심성을 수양하고 국민적 심미 기준을 제시하는 등 차의 ‘수양론적 기능’을 십분 발휘시키는 역할을 해오고 있다. 현재 한국 불가의 차와 차문화는 어떤가? 전남 무안군은 ‘초의 생가 복원’이라는 명분 아래 백수십억 원의 돈을 들여 고대광실 건물들을 앉혀서 일대를 대규모의 사적지처럼 조성했다. 여기서 파생하여 초의의 이름으로 차를 만들고 파는 단체들도 있고, 초의 관련 에피소드를 연고로 삼아 한국 차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이들도 있다. 이런 현상을 일본 다도의 예에서 보듯이 좋은 의미로 ‘한국 불가다도의 세속화’라고 할 수 있을까?
![]() | ||
▲ 한국 차의 성인으로 일컬어지는 초의 스님 초상. 출처 ‘차 만드는 사람들’. |
그렇다면 현재 한국의 차는 ‘초의차’가 그랬을 것처럼 기가 막힌 차향을 풍기며 대중들을 유혹하고, 그러한 천향(天香)으로써 대중의 심성을 우주·자연과 합일시키는 다도 수양의 주체가 돼 있어야 한다. 오늘날 한국 차 시장이나 차 행사장에서 승복 입은 사람들의 활동은 눈부실 정도다. 승복 입고 직접 차를 만들어 파는 이도 있고, 승복 입고 공금을 지원받아 큰 건물을 짓고 ‘제다 교육’을 한다는 이도 있고, 승복 입고 국가 예산을 타내서 대규모 차 행사를 주관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의 활동과 한국 불가다도(또는 차문화)와 한국 차의 암울한 현실은 어떤 관계일까? 그들이 한국 불가다도를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승려’임을 드러내는 사실과 간혹 그들 중 일부에 의해 ‘초의’의 이름이 언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들의 행적이 주는 이미지가 한국 불가다도와 무관하다고 할 수도 없겠다.
그렇다면 그들이 한국 차계에 끼치고 있는 영향력과 현재 한국 차와 차문화가 쇠퇴 일로에 있는 현실은 한국 불가다도가 한국 차문화 현실에 선도적인 역할을 발휘하고 있는 정상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는 이런 점에서 한국 불가다도에 관심 있는 이들이나 당사자들이 한국 차의 왜곡되고 암울한 현실과 관련해 책임의식을 느껴주었으면 한다. 특히 승복 입고 한국 차계를 누비고 있는 사람들이 말이다. 오늘 저녁 여느 절 템플스테이 ‘다도 체험’에서 중국 차가 아닌, 초의 스님처럼 우리 풍토에서 직접 일구고 가꾼 차밭에서 찻잎을 따서 정성스레 만든 차로써 참가자들에게 밖에서 듣지 못한 차의 본질과 초의 스님이 ‘동다송’에서 말하고자 했던 다도의 수양론적 기능에 대해 말해주는 주지 스님이 많았으면 좋겠다.
한국의 차농가들과 당국의 한국 차에 대한 위기상황 인식은 2015년 ‘차진흥법’ 제정과 2016년 ‘제다’의 문화재 지정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차 관련 각종 재정 지원의 길이 열렸다. 이후 많은 차 관련 단체들이 여기저기서 대규모 차 행사(전시회, 다회 등)를 벌이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행사들이 눈먼 돈 타내기와 ‘돈 쓰는 맛’에 치중하고 있는 인상을 준다.
한국 차가 망해가고 있는 현실을 부채질이나 하듯이 대부분의 차 관련 전시회나 박람회의 주인공은 중국 보이차다. 지난 가을 광주에서 열렸던 어느 대규모 차 행사장에는 아예 ‘중국 보이차 특별전’인 양, 보이차 전시관을 아주 좋은 자리에 매우 크게 차려 주어 중국 현지인들이 와서 직접 보이차 시음을 주관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국 차는 한국 차의 진수인 덖음 녹차가 아니라 시큼털털한 맛의 황차(이른바 ‘한국 발효차’)가 주류였다. 나는 이 행사도 한 승려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이처럼 한국 차 위기상황에서 불가다도의 역할이 아쉽다는 점과 함께, 지금 한국 차 위기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는 제다의 문제와 다도의 수양론적 기능에 대한 몰이해에 있다. 차 행사장에서 황차나 꽃차가 주류 역할을 하거나 중국 보이차에게 안방을 빼앗기는 것은 차향다운 차향을 내는 덖음 녹차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한국 차 제다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지금도 ‘구증구포’라는 얼토당토않은 말이 한국 차 제다의 ‘비법’ 행세를 하고 있는 현실이 이를 입증한다. 또 차향이 왜 중요하며 그것이 다도 수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도대체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결과, 다도를 고급 옷차림에 떼로 몰려 앉아 폼 내며 황차나 ‘감잎차’류(사실 이런 종류의 ‘즙’ 또는 ‘탕’을 ‘차’라고 해서는 안 된다)를 피상적으로 나눠 마시는 일로 착각하고 있는 모습이 이를 입증한다.
![]() | ||
▲ 최성민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
대부분의 차 관련 행사장에서 관행으로 돼있는 이런 적폐 현상, 즉 정부 돈 타내서 쓰는 데에 관심이 집중되고 한국 차의 위기 상황이나 차의 본질에 대한 관심을 외면하는 기존의 행태가 청산되지 않는 한 한국 차와 차문화는 쇠망의 길로 치닫는 운명을 면치 못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불가다도의 차문화 리더십이나 한국 차계에서 ‘차의 대가’ 행세를 하는 승려들의 불가다도의 역할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1420호 / 2017년 12월 20일자 / 법보신문 ‘세상을 바꾸는 불교의 힘’]
번호 | 제목 | 닉네임 | 조회 | 등록일 | |
---|---|---|---|---|---|
17 |
![]() |
코로나 정복 '22 야생차포레스트', 활력 호응으로 막내려
![]() |
산절로 마스터 |
1000 | 2022-06-11 |
힐링 곡성-야생차 포레스트 성료초의 제다의 미비점 보완 등 ‘전통 제다’의 본질구현이능화 기자l승인2022.05.16l수정2022.05.16 15:13 댓글0 트위터 페이스북 크게 작게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 2022년 4월 30일 산절로야생다원에서 실시된 ...
|
|||||
16 |
![]() |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최성민 박사, 2022년에도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전통 제다' 강의 맡아 | 산절로 마스터 |
870 | 2021-12-29 |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최성민 박사(철학-한국 수양다도의 모색)가 4년전부터 맡아온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제다'(2019년엔 제다 및 수양다도 강의) 강의를 2022년에도 맡게 되었다. 성대 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주임 조민환 교수는 2021...
|
|||||
15 |
![]() |
차계와 차학계 퇴행적 행태 한국 차 위기 가속화 요인
![]() |
산절로 마스터 |
4921 | 2021-02-11 |
차계와 차학계 퇴행적 행태 한국 차 위기 가속화 요인특별인텨뷰-『神妙신묘』의 저자 최성민이상균 기자l승인2021.02.05l수정2021.02.05 17:38 댓글0 트위터 페이스북 크게 작게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 최근 반가운 봄소식과 함께 세상에 나...
|
|||||
14 |
![]() |
동양사상의 도와 다도
![]() |
산절로 마스터 |
7207 | 2020-08-26 |
동양사상(道·儒·佛)의 도(道)와 다도(茶道) 독철왈신카페스탭
2020.08.26. 17:24조회 0 댓글 0URL 복사 다도는 차와 차문화가 활성화되고 그것들에 대한 풍성한 기록이 육우(陸羽)의 『다경』에 담기던 당대(唐代)에 이미 육우와 함께 차...
|
|||||
13 |
![]() |
차의 ‘3대 요소’ 및 ‘3대 성분’과 한국 차 제다의 지향점 | 산절로 마스터 |
3218 | 2020-08-26 |
흔히 차에는 ‘3대 요소’와 ‘3대 성분’이 있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차의 3대 요소는 향·색·맛이고 3대 성분은 티폴리페놀·아미노산·카페인이다. 차의 3대 요소 구분은 동양사상의 기론적 분석이고 3대 성분 분석은 서양 자연과학(화학)의...
|
|||||
12 |
![]() |
신묘(神妙),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핵심 원리 | 산절로 마스터 |
3100 | 2020-08-24 |
신묘(神妙),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핵심 원리 초의는 1830년 『만보전서(萬寶全書)』에 「다경채요(茶經採要)」라는 이름으로 실린 명대(明代) 장원(張原)의 『다록(茶錄)』 내용을 초록(抄錄)하여 엮으면서 책 이름을 『다록(茶錄)』이 주는 의미맥...
|
|||||
11 |
![]() |
초의는 ‘한국 차의 성인’일까? | 산절로 마스터 |
3588 | 2020-05-01 |
『다신전』과 『동다송』의 위력에 가려진 오해와 진실 -최성민( (사)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소장. 철학박사) 제다철이 왔다. 지금 남도의 제다 현장 곳곳에서는 ‘좋은 차’ 제다에 여념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한국 차계의...
|
|||||
10 |
![]() |
동양 사상 儒·佛·道家의 공유 수양개념-도(道) (1)
![]() |
산절로 마스터 |
7546 | 2020-03-27 |
산절로 마스터 조회 수 : 0 2020.03.27 (04:03:09) [공지] 수양다도 ・ 1분 전 URL 복사 통계 본문 기타 기능수정하기번역보기삭제하기 동양 사상 儒·佛·道家는 모두 ‘도(道)’라는 공용어를 갖는다. 유가에는 공자의 말 “아도...
|
|||||
9 |
![]() |
무식 또는 사기성 상혼과 국민 건강
![]() |
산절로 마스터 |
7875 | 2020-03-14 |
수양다도 ・ 2분 전 한국 식품 행정에 '전통식품 명인' 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순기능도 있지만 역기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역기능은 명인으로 지정된 특정 개인의 홍보로 이용돼 다수의 고기능자들을 매장시키고 국민 건강에 위...
|
|||||
8 |
![]() |
한국 차 위기 타개책은 제다 표준화!
![]() |
산절로 마스터 |
3279 | 2019-10-10 |
이제 선선한 갈바람과 함께 차를 들며 명상하기에 좋은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 때에 맞춰 전국에서 각종 차 행사가 활발히 열릴 것이다. 차인들이나 차 관련 학계에서 국가 예산 지원을 받아 대형 차 행사를 여는 것은 대중에게 차의 ...
|
|||||
7 |
![]() |
최성민 소장 “다도 숭고한 경지 모르고 차 만들어서야”
![]() |
산절로 마스터 |
13275 | 2018-09-04 |
오피니언 기고 최성민 소장 “다도 숭고한 경지 모르고 차 만들어서야” 법보신문 기사 최성민 소장, 혜우 스님에 재반론 다도는 차 마시는 이들의 일 아닌 모두가 염두에 둬야 할 핵심 개념 중국인 차 선호 이유는 ...
|
|||||
6 |
![]() |
혜우 스님 “중국차 제다법으로 우리 차 이야기는 그만하라”
![]() |
산절로 마스터 |
10164 | 2018-09-04 |
HOME 오피니언 기고 혜우 스님 “중국차 제다법으로 우리 차 이야기는 그만하라” 법보 승인 2018.07.09 16:02 혜우 스님, 최성민 소장에 반론 ‘다경’은 중국인이 쓴 차 담론 중국 식생활·자연환경에 맞춰져 기름 ...
|
|||||
5 |
![]() |
"차 덖는 건 냉한 성미 때문 아니다"-최성민 소장의 혜우스님 비판
![]() |
산절로 마스터 |
9830 | 2018-07-06 |
이전 다음 최성민 소장 “차 덖는 건 냉한 성미 때문 아니다” 최성민 다도보존연구소장 본지 기고 전통덖음차제다교육원 혜우 스님 비판 녹차에 대한 오해·음해에 빌미 줄 뿐 제다 관건은 습기 적절히...
|
|||||
![]() |
![]() |
한국차 망해가는 데 불교계는 지켜만 볼 텐가특별기고-최성민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 |
산절로 마스터 |
3552 | 2017-12-27 |
최성민 산절로야생다원 대표가 ‘지금 한국 차는 질식상태, 불가다도 성찰과 선도적 역할이 절실하다’는 제하의 글을 보내왔다. 한겨레신문 기자와 여론매체부장 등을 역임한 최 대표는 성균관대대학원에서 ‘한국 수양다도의 모색’을 주제로...
|
|||||
3 |
![]() |
차진흥법·제다 문화재지정에 따른 ‘돈잔치’ 적폐 청산돼야한국 차 위기 정확한 진단과 실효성 있는 대책 필요 | 산절로 마스터 |
3470 | 2017-12-27 |
승인2017.11.29l수정2017.12.06 15:18 메일 인쇄 신고
한국차계의 현실과 해결책에 대한 많은 의견이 있다. 최성민씨가 한국차 위기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기고를 보내왔다. 본지는 최성민씨의 기고문에...
|
|||||
2 |
![]() |
요즘 한국 차계, 황차와 반발효차를 혼동하는 데서 한국 차문화를 퇴보시키고 있다. | 산절로 마스터 |
5467 | 2015-06-05 |
몇년전부터 녹차가 안팔리고 중국산 보이차가 홍수를 이루다 보니 한국 차농들이나 차를 만드는 사람들, 그리고 차를 마시는 사람들(통틀어 소위 '차인')이 황차 또는 반발효차라는 걸 만들고 마시기에 바쁘다. 즉 생 찻잎을 따다가 녹차...
|
|||||
1 |
![]() |
산절로 야생다원의 올 봄 생각 | 산절로 마스터 |
4011 | 2015-04-08 |
올봄은 가뭄끝에 단비가 많이 내리고 갑자기 더워지는 날이 많아서 곡성 섬진강변 산절로야생다원 찻잎들이 생기를 억누르지 못하고 금새라도 나올 듯 꿈틀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르면 다음 주말부터(15일 이후 20일 이전)는 올해 제다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