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 생 찻잎을 따다가 녹차를 만드는 대신 시간을 두고 찻잎을 시들고 멍들게 하거나 생체로 비비고 짓이겨 뜨거운 곳에 넣어 두었다가 갈변하면 덖어서 황차 또는 반발효차라고 부르며 마치 중국 보이차 대용인 듯 마시고 있다.
그러나
황차와 반발효차는 개념이 다른 것인데 두 이름을 혼돈해 쓰는 데서 차를 만드는 논리까지 혼돈돼 제대로된 황차나 반발효차가 나오기 어렵게 하고 있다.
황차는 이름이 말해주듯 누런 색을 띤 차인데, 녹차보다는 약간 변질된 과정을 거친 것이다. 즉 녹차는 생찻잎을 따는 즉시 덖어(살청) 산화요소의 작용을 정지시킨 것이고, 황차는 생 찻잎을 바로 덖지 않고 시간을 두고 시들리거나 잎 가장자리에 상처를 가해 갈변(산화)을 촉진시킨 것이다. 그 갈변현상이 탕에 누런 색(누렇기 보다는 약간 진녹색 또는 연한 갈홍색)으로 나타난 것이어서 황차라고 부른다. 이는 사과를 깎아 놓으면 깎인 면이 공기중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갈변하는 현상과 같은 이치이지 발효현상은 아니다. 따라서 이런 차는 황차나 반산화차라고 부르는 것이 정확한 명칭이다.
발효차는 보이차처럼 짓이긴 생찻잎이나 설덖은 찻잎에 오랜 기간 발효곰팡이가 슬어 발효된 차이다. 그 발효 정도에 따라 완전 발효차 또는 반발효차라고 부르는 것이 황차 등 다른 차와 명칭에서 비롯되는 오해를 막을 수 있다.
황차를 만들면서 '반발효차'라는 이름 때문에 발효계통 차를 만드는 것으로 착각하여 생찻잎을 마구 비벼서 비닐 포대에 넣고 밀봉하여 뜨거운 아랫목에 몇시간씩 두었다가(마치 술이 발효되어 익게 하는 것처럼) 꺼내 덕는 제다인들이 적지 않다. 이런 차는 탕색이 짙은 갈색이고 퀴퀴하고 고리타분한 냄새와 맛이 난다. 이를 '발효차'의 고상틱한 향과 맛이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많으니 한국 차의 질과 차문화가 퇴보를 면치 못한다.
찻잎을 억지로 짓이기고 뜨거운 곳에서 몸살 시키는 과잉 인위를 가하지 않고, 끈기를 가지고 산속 해맑은 공기를 만나 저절로 산화되도록 하여 만든 진정한 황차는 은은한 홍옥사과향 같은 과일향과 이른 봄 잔설 속에서 풍겨오는 매향이나 난향처럼 사람의 심신을 경이적인 자연의 힘으로 힐링해주는 향과 맛이 난다.
번호 | 제목 | 닉네임 | 조회 | 등록일 | |
---|---|---|---|---|---|
17 |
![]() |
코로나 정복 '22 야생차포레스트', 활력 호응으로 막내려
![]() |
산절로 마스터 |
999 | 2022-06-11 |
힐링 곡성-야생차 포레스트 성료초의 제다의 미비점 보완 등 ‘전통 제다’의 본질구현이능화 기자l승인2022.05.16l수정2022.05.16 15:13 댓글0 트위터 페이스북 크게 작게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 2022년 4월 30일 산절로야생다원에서 실시된 ...
|
|||||
16 |
![]() |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최성민 박사, 2022년에도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전통 제다' 강의 맡아 | 산절로 마스터 |
870 | 2021-12-29 |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최성민 박사(철학-한국 수양다도의 모색)가 4년전부터 맡아온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제다'(2019년엔 제다 및 수양다도 강의) 강의를 2022년에도 맡게 되었다. 성대 유학대학원 예다학과 주임 조민환 교수는 2021...
|
|||||
15 |
![]() |
차계와 차학계 퇴행적 행태 한국 차 위기 가속화 요인
![]() |
산절로 마스터 |
4921 | 2021-02-11 |
차계와 차학계 퇴행적 행태 한국 차 위기 가속화 요인특별인텨뷰-『神妙신묘』의 저자 최성민이상균 기자l승인2021.02.05l수정2021.02.05 17:38 댓글0 트위터 페이스북 크게 작게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 최근 반가운 봄소식과 함께 세상에 나...
|
|||||
14 |
![]() |
동양사상의 도와 다도
![]() |
산절로 마스터 |
7206 | 2020-08-26 |
동양사상(道·儒·佛)의 도(道)와 다도(茶道) 독철왈신카페스탭
2020.08.26. 17:24조회 0 댓글 0URL 복사 다도는 차와 차문화가 활성화되고 그것들에 대한 풍성한 기록이 육우(陸羽)의 『다경』에 담기던 당대(唐代)에 이미 육우와 함께 차...
|
|||||
13 |
![]() |
차의 ‘3대 요소’ 및 ‘3대 성분’과 한국 차 제다의 지향점 | 산절로 마스터 |
3216 | 2020-08-26 |
흔히 차에는 ‘3대 요소’와 ‘3대 성분’이 있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차의 3대 요소는 향·색·맛이고 3대 성분은 티폴리페놀·아미노산·카페인이다. 차의 3대 요소 구분은 동양사상의 기론적 분석이고 3대 성분 분석은 서양 자연과학(화학)의...
|
|||||
12 |
![]() |
신묘(神妙),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핵심 원리 | 산절로 마스터 |
3099 | 2020-08-24 |
신묘(神妙), 한국 차 제다와 다도의 핵심 원리 초의는 1830년 『만보전서(萬寶全書)』에 「다경채요(茶經採要)」라는 이름으로 실린 명대(明代) 장원(張原)의 『다록(茶錄)』 내용을 초록(抄錄)하여 엮으면서 책 이름을 『다록(茶錄)』이 주는 의미맥...
|
|||||
11 |
![]() |
초의는 ‘한국 차의 성인’일까? | 산절로 마스터 |
3588 | 2020-05-01 |
『다신전』과 『동다송』의 위력에 가려진 오해와 진실 -최성민( (사)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소장. 철학박사) 제다철이 왔다. 지금 남도의 제다 현장 곳곳에서는 ‘좋은 차’ 제다에 여념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한국 차계의...
|
|||||
10 |
![]() |
동양 사상 儒·佛·道家의 공유 수양개념-도(道) (1)
![]() |
산절로 마스터 |
7544 | 2020-03-27 |
산절로 마스터 조회 수 : 0 2020.03.27 (04:03:09) [공지] 수양다도 ・ 1분 전 URL 복사 통계 본문 기타 기능수정하기번역보기삭제하기 동양 사상 儒·佛·道家는 모두 ‘도(道)’라는 공용어를 갖는다. 유가에는 공자의 말 “아도...
|
|||||
9 |
![]() |
무식 또는 사기성 상혼과 국민 건강
![]() |
산절로 마스터 |
7874 | 2020-03-14 |
수양다도 ・ 2분 전 한국 식품 행정에 '전통식품 명인' 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순기능도 있지만 역기능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역기능은 명인으로 지정된 특정 개인의 홍보로 이용돼 다수의 고기능자들을 매장시키고 국민 건강에 위...
|
|||||
8 |
![]() |
한국 차 위기 타개책은 제다 표준화!
![]() |
산절로 마스터 |
3279 | 2019-10-10 |
이제 선선한 갈바람과 함께 차를 들며 명상하기에 좋은 시기에 접어들고 있다. 때에 맞춰 전국에서 각종 차 행사가 활발히 열릴 것이다. 차인들이나 차 관련 학계에서 국가 예산 지원을 받아 대형 차 행사를 여는 것은 대중에게 차의 ...
|
|||||
7 |
![]() |
최성민 소장 “다도 숭고한 경지 모르고 차 만들어서야”
![]() |
산절로 마스터 |
13274 | 2018-09-04 |
오피니언 기고 최성민 소장 “다도 숭고한 경지 모르고 차 만들어서야” 법보신문 기사 최성민 소장, 혜우 스님에 재반론 다도는 차 마시는 이들의 일 아닌 모두가 염두에 둬야 할 핵심 개념 중국인 차 선호 이유는 ...
|
|||||
6 |
![]() |
혜우 스님 “중국차 제다법으로 우리 차 이야기는 그만하라”
![]() |
산절로 마스터 |
10163 | 2018-09-04 |
HOME 오피니언 기고 혜우 스님 “중국차 제다법으로 우리 차 이야기는 그만하라” 법보 승인 2018.07.09 16:02 혜우 스님, 최성민 소장에 반론 ‘다경’은 중국인이 쓴 차 담론 중국 식생활·자연환경에 맞춰져 기름 ...
|
|||||
5 |
![]() |
"차 덖는 건 냉한 성미 때문 아니다"-최성민 소장의 혜우스님 비판
![]() |
산절로 마스터 |
9830 | 2018-07-06 |
이전 다음 최성민 소장 “차 덖는 건 냉한 성미 때문 아니다” 최성민 다도보존연구소장 본지 기고 전통덖음차제다교육원 혜우 스님 비판 녹차에 대한 오해·음해에 빌미 줄 뿐 제다 관건은 습기 적절히...
|
|||||
4 |
![]() |
한국차 망해가는 데 불교계는 지켜만 볼 텐가특별기고-최성민 산절로야생다원 대표
![]() |
산절로 마스터 |
3552 | 2017-12-27 |
최성민 산절로야생다원 대표가 ‘지금 한국 차는 질식상태, 불가다도 성찰과 선도적 역할이 절실하다’는 제하의 글을 보내왔다. 한겨레신문 기자와 여론매체부장 등을 역임한 최 대표는 성균관대대학원에서 ‘한국 수양다도의 모색’을 주제로...
|
|||||
3 |
![]() |
차진흥법·제다 문화재지정에 따른 ‘돈잔치’ 적폐 청산돼야한국 차 위기 정확한 진단과 실효성 있는 대책 필요 | 산절로 마스터 |
3469 | 2017-12-27 |
승인2017.11.29l수정2017.12.06 15:18 메일 인쇄 신고
한국차계의 현실과 해결책에 대한 많은 의견이 있다. 최성민씨가 한국차 위기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기고를 보내왔다. 본지는 최성민씨의 기고문에...
|
|||||
![]() |
![]() |
요즘 한국 차계, 황차와 반발효차를 혼동하는 데서 한국 차문화를 퇴보시키고 있다. | 산절로 마스터 |
5466 | 2015-06-05 |
몇년전부터 녹차가 안팔리고 중국산 보이차가 홍수를 이루다 보니 한국 차농들이나 차를 만드는 사람들, 그리고 차를 마시는 사람들(통틀어 소위 '차인')이 황차 또는 반발효차라는 걸 만들고 마시기에 바쁘다. 즉 생 찻잎을 따다가 녹차...
|
|||||
1 |
![]() |
산절로 야생다원의 올 봄 생각 | 산절로 마스터 |
4010 | 2015-04-08 |
올봄은 가뭄끝에 단비가 많이 내리고 갑자기 더워지는 날이 많아서 곡성 섬진강변 산절로야생다원 찻잎들이 생기를 억누르지 못하고 금새라도 나올 듯 꿈틀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르면 다음 주말부터(15일 이후 20일 이전)는 올해 제다를...
|